지난 4월 부산에서 열린 취업 설명회와 현장 면접 모습. 송봉근 기자
신입사원 10명 중 8명은 첫 직장을 떠나고, 첫 직장을 옮기는 데 걸리는 시간은 2.9년에 불과한 시대다(한국고용정보원). 대기업에 몸담은 청년도 직장을 계속 다니는 비율이 36.1%에 그친다.
이직이 보편화하다 보니 헤드헌팅·채용 플랫폼은 물론이고 ‘평판 조회’ 시장까지 커지고 있다. 평판 조회는 이력서나 면접으로 알 수 없던 정보를 채용 후보자 주변인에게 물어 ‘소리 없는 면접’ ‘제3의 면접’으로도 불린다. 경력 채용이 크게 늘면서 많게는 수백만원대 비용을 감수하면서까지 전문업체에 채용 후보자 평판을 조사해달라고 의뢰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는 후문이다.
지난 17일 배영(52) 커리어케어 씨렌즈센터 팀장(전무)에게 경력 위조도 심심치 않게 적발한다는 평판 조회 시장에 대해 물었다. 커리어케어는 국내 헤드헌팅 회사로 지난해 평판 조회 전담 조직(씨렌즈센터)을 만들었다. 헤드헌터 출신인 배 팀장은 평판 조회 업무를 2012년부터 11년째 해오고 있다.
평판 조회 업무를 11년째 하고 있는 배영(52) 커리어케어 씨렌즈센터 팀장(전무). [사진 커리어케어]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